두 눈이 정렬되어 있지 않고
서로 다른지점을 바라본다면??
두 눈이 바르게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안질환으로
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.
사시는 눈이 돌아가는 방향에 따라
밖으로 향하는 외사시,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, 위아래로 향하는 상사시와 하사시로 나뉘게 됩니다.
두 눈이 바르게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안질환으로
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.
사시는 눈이 돌아가는 방향에 따라
밖으로 향하는 외사시,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, 위아래로 향하는 상사시와 하사시로 나뉘게 됩니다.
사시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됩니다.
한 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
다른 눈이 안쪽(코 방향)으로 돌아간 상태
한 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
다른 눈이 바깥쪽(귀 방향)으로 돌아간 상태
한 쪽 눈이 정면을 볼 때
다른 눈이 위쪽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
한 쪽 눈이 정면을 볼 때
다른 눈이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
눈이 사시처럼 보이지만
실제로는 양쪽 눈이 정렬된 정상 상태
생후 6개월 이전에 나타나는 내사시로
양안 시기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음
원시로 인해 초점을 맞출 때
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사시
평소에는 정렬되어 있다가
피로하거나 멍할 때 눈이 바깥으로 돌아가는 사시
좋은 눈을 가려 안 좋은 눈을 계속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입니다.
조절성 내사시의 경우, 시력 보정을 위한 안경 착용만으로도 사시 증상이 효과적으로 교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눈을 움직이는 외안근의 위치나 장력을 조절하여 눈의 정렬을 바로잡는 수술로, 어린이는 전신마취가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