두 눈이 정렬되어 있지 않고
서로 다른지점을 바라본다면??

두 눈이 바르게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안질환으로
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.

사시는 눈이 돌아가는 방향에 따라
밖으로 향하는 외사시, 안으로 몰리는 내사시, 위아래로 향하는 상사시와 하사시로 나뉘게 됩니다.

사시란?

사시란 두 눈 간의 사축이 틀어지는 상태로 양쪽 눈동자가 같은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.

눈 근육 및 조직 구조 이상으로 발생되며 유전적인 요인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신생아라도 사시가 의심되면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사시의 종류

사시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됩니다.

  • 내사시

    한 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
    다른 눈이 안쪽(코 방향)으로 돌아간 상태

  • 외사시

    한 쪽 눈이 정면을 바라볼 때
    다른 눈이 바깥쪽(귀 방향)으로 돌아간 상태

  • 상사시

    한 쪽 눈이 정면을 볼 때
    다른 눈이 위쪽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

  • 하사시

    한 쪽 눈이 정면을 볼 때
    다른 눈이 아래쪽으로 내려가 있는 상태

  • 가성사시

    눈이 사시처럼 보이지만
    실제로는 양쪽 눈이 정렬된 정상 상태

  • 유아 내사시

    생후 6개월 이전에 나타나는 내사시로
    양안 시기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음

  • 조절 내사시

    원시로 인해 초점을 맞출 때
    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사시

  • 간헐성 외사시

    평소에는 정렬되어 있다가
    피로하거나 멍할 때 눈이 바깥으로 돌아가는 사시

사시 증상

  • 한쪽 눈이 코나 귀 방향으로 돌아가 정면 주시가 어렵습니다.
  • 눈의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.
  • 외사시의 경우 밝은 빛이나 햇빛 아래에서 한쪽 눈을 찡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눈의 피로감이나 두통을 자주 호소하게 됩니다.
  • 책을 읽을 때 머리를 앞뒤로 움직이거나 고개를 기울이는 습관이 나타납니다.
  • 머리를 한쪽으로 갸우뚱하게 기울여 사물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.
  • 상사시의 경우 고개를 기울이거나 얼굴을 돌려 시야를 보정하려는 행동이 나타납니다.
  • 사시 증상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, 특히 피로할 때 더 뚜렷해질 수 있습니다.

사시 치료방법

  • 차안법(눈 가림법)

    좋은 눈을 가려 안 좋은 눈을 계속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법입니다.

  • 특수 안경 착용

    조절성 내사시의 경우, 시력 보정을 위한 안경 착용만으로도 사시 증상이 효과적으로 교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  • 사시 수술

    눈을 움직이는 외안근의 위치나 장력을 조절하여 눈의 정렬을 바로잡는 수술로, 어린이는 전신마취가 필요합니다.